1m | 북극점-적도 거리의 1000만분의 1 | |
1km | 북극점-적도 거리의 1만분의 1 | |
17km/s | 보이저 1,2호의 속도 |
1호 (1977-09-05) 목성/토성 2호 (1977-08-20) 목성/토성/천왕성/해왕성 |
70km/s | 헬리오스 2호의 속도 |
1호 (1974) 2호 (1976) |
3,000km | 달의 지름 | |
6,000km | 화성의 지름 | |
10,000km | 북극점-적도 거리 | |
12,000km | 지구의 지름 | |
40,000km | 지구 한 바퀴 | |
12만km | 토성의 지름 | 지구 지름의 9.4배 |
14만km | 목성의 지름 | |
30만km | 빛이 1초에 가는 거리 | |
38만km | 지구-달 거리 | |
139만km | 태양의 지름 | 지구 지름의 109배 |
0.4AU | 태양-수성 거리 | |
0.7AU | 태양-금성 거리 | |
1AU | 태양-지구 거리 |
1억5천만km (빛의 속도로는 8분 20초) |
1.5AU | 태양-화성 거리 | |
5AU | 태양-목성 거리 | |
10AU | 태양-토성 거리 | |
20AU | 태양-천왕성 거리 | |
30AU | 태양-해왕성 거리 | |
30-50AU | 카이퍼 벨트 |
Kuiper belt (Gerard Kuiper, 1905~1973) |
30-100AU | 산란 원반(=산란 분포대) | scattered disc (or scattered disk) |
100AU | 말단 충격 |
태양풍 입자의 속도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곳 (100AU) Termination Shock |
100-120AU | 태양권 덮개 | Heliosheath |
120AU | 태양권 계면 |
태양풍의 압력과 성간매질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는 곳 (120AU) Heliopause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2018-11-05, 보이저 2호는 헬리오포즈를 통과 (섭씨 3만1000도의 플라스마 장벽) |
230AU | 뱃머리 파동 |
성간매질 입자의 속도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곳 (230AU) Bow Wave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은하 속에서 태양도 공전한다 |
100AU-2만AU(또는 3만AU) | 오오트 구름 (안쪽) | 힐스 구름 (Jack G. Hills) |
2만AU(또는 3만AU)-10만AU | 오오트 구름 (바깥쪽) | (Jan Hendrik Oort, 1900~1992) |
1LY |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 |
10조km (=6만4천AU) |
4.24LY | 프록시마 |
지구에서 태양을 빼고 가장 가까운 별 (적색왜성이라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낮음) (적색왜성은 항성의 90% 이상임) (Proxima Centauri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프록시마 b (지구를 닮은 최단거리 행성) (2016-08-25 발표) |
4.37LY | 알파 센타우리 |
지구에서 태양을 빼고 가장 가까운 생명체가 존재할 만한 별 (Alpha Centauri, α Centauri) |
2만6천LY | 우리 은하 중심-태양 거리 |
태양의 공전 주기 = 2억3천만년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지구의 세차운동 주기 = 2만6천년 |
15만LY~20만LY | 우리 은하의 지름 |
|
250만LY | 우리 은하-안드로메다 은하 거리 |
|
138억LY |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 |
우주의 지평선 |
|
||
연주시차 | 지구의 공전궤도의 반지름을 기선 | |
1도=60분=3600초 1분=60초 |
||
1PC | 연주시차 1초일 때의 거리 |
3.26LY (1파섹은 3.26광년이므로 어느 것으로 쓰나 별다른 차이는 없으나, 천문학 논문에서는 파섹을 주로 쓴다고 함) parsec = parallax + second |
절대등급 (별이 10PC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고 정한 별의 밝기) |
10PC=32.6LY | |